카테고리 없음

마진거래는 무엇이고, 위험한 이유와 성투 비결

코스터 2022. 8. 7. 17:51
반응형

 

안녕하세요 해외거래소 인플루언서 투자로드 입니다!

오늘은 마진거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최대한 간단하고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마진거래는 빚내서 거래를 한다는 것입니다.

제가 투자한 리플을 예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 (지금은 안합니다. 곧 할겁니다. 리플 미안...)

업비트의 경우, 호가창을 보시면 최소 단위가 5원입니다. (이것을 한 틱당 5원이라고 합니다) ======= (지금은 1원이죠...)

제가 1XRP를 구입했습니다. 1틱 상승하면 +5원이 됩니다. 1틱 하락하면 -5원이 됩니다.

100XRP를 보유하고 있다면, 1틱 상승시 +500원이 되죠.

1XRP=1,000원이라 가정해봅시다.

1XRP를 구입했을 때, 1틱이 떨어지면 995원이, 2틱이 떨어지면 990원이 됩니다.

1XRP=0원이 되었을 때에만 제 원금이 0원이 됩니다. 상폐가 되지 않는 이상 제 원금이 제로가 되는 일은 없습니다.

상황을 바꿔봅시다. 마진거래는 빚내서 하는 거래라고 했죠?

제가 1,000원밖에 없어서 1XRP밖에 못사는 상황입니다. 근데 저는 배팅에 자신이 있어서 100XRP를 구입하고 싶습니다.

이 때, 거래소가 99XRP를 빌려줍니다. 저에게 100XRP가 생겼죠.

100XRP가 생겼기 때문에, 1틱 상승할 때 마다 +500원의 수익이 생깁니다. (1틱당 5원 * 100개)

반면 1틱 하락할 때 마다 -500원의 손해가 발생합니다.

만약 2틱이 하락한다면? -1,000원의 손해가 발생하죠. 근데 제 원금은 원래 1,000원이었잖아요?

자동 청산됩니다. 제 원금은 0원이 됩니다.

이게 마진콜입니다.

 

선물 시장은 모두 마진거래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선물 시장은 변동이 매우 심하여 투자 리스크가 매우 높습니다.

이렇게 위험하다는 이유로 거래소는 투자자 보호를 위해 증거금을 요구합니다.

(골드가 약 1억입니다. 1억을 내고 1계약을 사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못하겠죠?

그렇기 때문에 계약당 400백만원 정도를 요구합니다. 골드하고 싶어? 그럼 일단 400백은 내. 그러면 1억짜리 계약 살 수 있게 해줄게. 이런거죠)

우리나라 국민은 증권사를 통해 골드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데, 시장에 참여하는데 필요한 기본 증거금이 약 5,000 달러.

(마진콜을 쉽게 당하지 않게 투자자 보호 용도도 있지만 투자자가 손해 발생시 거래소에 지급해야 하는 돈을 미리 받는겁니다)

그리고 1계약을 살 때 마다 기본 증거금으로 3,500달러 정도가 필요합니다.

즉, 맨 처음 1계약을 사려면 약 천만원 정도를 증권사에 맡기고 1계약을 살 수 있습니다.

2계약을 사려면 약 1400만원 정도가 필요하겠네요.

 

 

다음은 차트를 보며 설명드리겠습니다.

골드1일봉.png

상황을 가정해보겠습니다.

골드의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악재가 터졌습니다.

조정이라고 판단되는 시점 1260에 매도로 1계약 체결하였다고 가정해봅시다.

골드의 경우 0.1당 10달러의 수익/손해가 발생합니다 (1당 100달러)

최종적으로 1125까지 버텼다면, 1260-1125이므로 135. 즉, 135*100달러 = 13,500달러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셈입니다.

하지만 중간에 긴 봉 보이시죠? 순간적으로 1318까지 올라갔습니다.

즉, 1318을 찍었을 때, 1318-1260 = 58. 58*100달러 = 5,800달러의 손해가 발생합니다.

다행히 제가 증권사에 약 8,500달러를 맡겨놓았기 때문에 마진콜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반면 제가 3계약을 체결했다면?

저는 증권사에 약 15,000달러를 맡겼는데, 1260에서 1318로 상승할 때 5,800*3 = 17,400달러의 손해가 발생합니다.

즉, 제가 가지고 있는 돈 보다 더 많은 손해가 발생할 수 있는것입니다.

이런 경우 증권사에서는 돈을 더 넣어라 아니면 다음날 바로 청산하겠다는 연락을 줍니다.

만약 돈을 더 넣었는데, 계속 상승하면? 더 망하는거죠.

하지만 제가 1계약을 체결하고, 1318까지 상승했을 때 버텼다면 1125까지 도달할 수 있을겁니다.

(물론 그 전에 못버티고 팔겠죠)

증거금을 넉넉하게 준비하고, 최소한의 계약으로 참여하여 여유롭게 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증거금을 약 12,000불을 넣는다면, 1계약 참여했을 때, 약 120은 버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같은 케이스에서 비1맥 100배 마진거래를 적용해보면, 12,000불 넣고, 100계약을 사는겁니다. 1.2틱밖에 못버팁니다.

항상 조심하게 안전 투자하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추가

그렇다면 마진거래를 왜 하는 것인가?

바로 레버리지 효과 때문입니다.

 

지렛대와 같이 약간의 힘으로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처럼 적은 돈으로 큰 수익률을 얻고 싶을 때 마진 거래를 합니다.

비트코인이 10,000달러에서 12,000달러로 상승한 경우

1) 만약 코인 시장에서 5개를 샀다가 팔았다면

- 투자금은 50,000달러. (매도시 60,000달러)

- 수익은 2,000달러 * 5개 = 10,000달러.

- 수익률: 10,000/50,000 = 20%

2) 선물 시장에서 1계약을 샀다면

- 투자금은 24,000달러 (CME 기준 1계약당 증거금이 24,000달러이며, 한 계약당 5개의 비트코인 효과가 있습니다)

- 수익은 똑같이 10,000의 수익을 얻었습니다.

- 수익률: 10,000/24,000 = 41.7%

이게 레버리지 효과입니다. 적은 돈으로 큰 수익을 얻는.

반대로 말하면 적은 돈으로 큰 손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 효과가 크면 클수록 수익도 많아지지만 손해도 많아집니다. 주의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 때 인상 깊었던 댓글이 있어서 추가해봅니다.

 

어느 한 분이 "거래소에서 코인을 거래하는건 자동차를 타고 가는 것. 마진 거래를 한다면 비행기를 타고 가는 것"

이라고 비유를 해주셨었습니다.

 

비행기를 타고 가면 더 빠르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저의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마진거래를 통해, 즉, 비행기를 통해 더 빠르게 목적지에 도달 할 수 있다는것 인정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행기 조종 면허가 없습니다. 비행기를 다룰줄 모르는 사람이 비행기를 몬다면 추락할 수 밖에 없습니다.

자동차 면허가 있는 사람이 자동차와 비행기가 앞에 있을 때 타야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자동차입니다.

(만약 둘 다 없다면 걸어가야겠지요). 조심해서 해야합니다."

 

이상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투하세요.

 

 

 

반응형